정보처리산업기사 2019년 10월 실기 기출문제 (복원) [ ]은(는) 기업 내에 운영되는 여러 종류의 플랫폼(DBMS, OS 등) 및 애플리케이션(ERP, SCM 등)등을 통합하고 유기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통칭한다. 기존 방식은 각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요구를 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했기 때문에 실제적인 정보 공유 및 통합 관리가 불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어려웠으나 [ ]은(는) 기업 내 애플리케이션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업무 프로세스들을 최대한 단순화/자동화 하고, 여러 시스템 간의 실시간 정보 조회가 가능하도록 한다.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전사적 응용 통합 정보처리산업기사 2019년 10월 실기 기출문제 (복원) ..
정보처리산업기사 2019년 10월 실기 기출문제 (복원) 데이터 언어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의 통신 수단이다. 데이터 언어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 및 변경하는 DDL, 데이터를 조작하는 DML, 보안 및 무결성, 병행제어 등을 위한 DCL로 구분된다. 다음 에서 DDL과 DML에 속하는 명령어들을 골라 적으시오. (5점) Commit, Table, Insert, Domain, Update, Query, Create, Trigger, Alter, Rollback, Procedure, Drop, Select, Grant, Delete, Revoke, View DDL : Create, Alter, Drop DML : Select, Update, Insert, D..
디버깅이란 컴퓨터에서 발생한 오류를 잡기 위해 소스 코드를 한 줄 한 줄 추적해 가며 변수 값의 변화를 검사하는 작업이다. 즉, 디버깅을 한다는 것은 사람이 컴퓨터가 되어 컴퓨터가 실행하는 일련의 코드를 직접 한줄씩 실행해 보면서 어떻게 게산이 이루어지는지, 어디가 잘못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알고리즘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알고리즘을 표현한 순서도를 이해하려면 반드시 디버깅 과정을 거쳐야한다. 무엇을 수행하는 순서도인지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디버깅만큼 빠르게 알고리즘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는 없다. 특히 실제 시험은 순서도의 군데군데에 놓여져 있는 빈 괄호에 알맞은 명령어를 채워 가는 것인데, 이것은 다른 사람이 만들어 놓은 순서도를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알고리즘에 대한 순서도를 직접 그리는 것보..